청년내일저축계좌 조건 신청 소득 서류 정리(신청 서두르세요!!)

5월 9일부터 정부에서 지원하는 청년내일저축계좌의 신청이 시작되었는데요.

↓↓↓↓↓↓↓↓↓ 지역별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 바로가기! ↓↓↓↓↓↓↓↓↓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부산광역시 경상남도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광주광역시 경상북도
강원도 충청도 전라남도 전라북도
대구광역시 울산광역시 경기도 제주특별자치도

​청년내일저축계좌는 경제적으로 어려운 청년들을 지원하는 정부지원 사업 중에서 가장 조건이 까다로운 대신, 혜택은 가장 큰 적금 중 하나이니, 지원 자격이 된다면 무조건 신청해야 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2023 청년내일저축계좌의 조건과 혜택에 대 상세히 알아보고자 합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란?




일하는 중간계층 청년이 사회에 안착할 수 있도록 자산형성 지원 및 자립을 돕는 정부지원제도.​

청년내일저축

​청년내일저축계좌는 중위소득 100% 이하 가구의 만 19세~ 34세의 일하는 청년이라면 개설할 수 있으며, 소득에 따라 연령조건과 정부지원금이 달라집니다.

​먼저 대상자를 알아보면 혜택이 큰 만큼 아무나 다 지원해 주지는 않고, 가구당 소득조건과 대상자의 소득 수준을 확인해보자면,

  • ​근로소득이나 사업소득이 월 50만원~ 220만원 이하
  • 가구재산 기준, 대도시 3.5억원 / 중소도시 2억원 이하
  • 가구소득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

위의 조건을 충족했다면, 청년내일저축계좌를 개설 할 수 있으며, 지원금액은 또 소득에 따라 나눠지게 됩니다.

​기초생활수급자 & 차상위 계층




만 19~39세의 일하는 청년을 대상으로 매달 10만원을 저축하면 정부가 30만원을 지원해 3년 만기 때 본인 납입 360만원을 포함한 총 1440만원+ 적금이자를 수령.

​차상위초과 계층

만 19세~34세의 일하는 청년을 대상으로 매달 10만원을 저축하면 정부가 10만원을 지원해 3년 만기 때 본인 납입 360만원을 포함한 총 720만원 + 적금이자를 수령.

그렇다면 청년내일저추계좌의 금리는 어떻게 될까? ​

청년저축

  • 가입대상: 운영지침에 따라 지방자치단체가 은행에 가입 승인을 통지한 실명의 개인
  • ​가입기간: 3년
  • ​가입금액: 매월 10만원 이상~ 50만원 이하
  • ​금리: 기본금리 연 2.0%

​우대금리

  • 최대 연 3.0%
  • 주거래 이체 연1.2%
  • 주택청약종합저축 연 1.0%
  • 마케팅동의 연 0.5%
  • 하나 합서비스 연 0.3%

​현재 청년내일저축계좌는 하나은행을 통해 가입이 가능하며 가입기간 총 3년동안 최대 금리는 우대금리를 포함 5% 를 제공합니다.

​또한 정부지원 혜택이 큰 만큼 조건도 까다로운데, 정부지원금을 전액 지원받으려면, ①가입 후 3년간 근로활동을 지속하면서, ②매월 10만원 이상을 저축해야 한다. 또한 ③자산 형성 포털 내 온라인 교육 10시간을 이수하고, ④최소 만기 6개월 전에는 자금사용계획서를 제출해야 합니다.

​현재 복지부에서 원활한 접수를 위해 12일까지 초기 2주간 출생일 기준 5부제를 시행합니다.

  • 월요일: 1.6
  • 화요일: 2.7
  • 수요일:3.8
  • 첫째 목요일: 4.5.9.0
  • 둘째주 목요일: 4.9
  • 금요일: 5.0

그 이후 15일부터 26일은 자율신청이며, 계좌 개설 대상자에 대한 선정 결과는 8월 중 개별안내가 될 예정이며, 안내를 받은 후 해당 은행에서 통장을 개설하면 됩니다.

​요즘 청년 대상으로 하는 지원 제도들이 많은데요. 한편에선 중년층 역차별이라는 얘기도 있지만 정부에서 사회 생활의 초기 계층인 청년사업에 힘쓰는 이유는 청년층이 앞으로 우리 나라를 짊어지고 나가야 하는 미래이기에 이들의 경제적 안정이 중요하다고 판단해서가 아닐까 생각이 듭니다.

​그렇다고 보편적 지원이 아니고서야 혜택들이 모든 젊은 층에게 돌아가는 것은 아니니 역차별이라고 분노할 이유는 없다 생각하지만, 라떼도 이런 지원사업들이 좀 많았다면 얼마나 좋았을꼬. 하는 생각이 드는 건 어쩔 수 없는 듯합니다.

​이번 청년내일저축계좌의 정부지원또한 조건이 까다로운만큼 혜택이 좋기 때문에 대상이 된다면 미리미리 신청하여 무조건 지원을 받아야하겠습니다.